whoborn | Descar http://www.descar.net/zh-hans 창의적 수학교구 Wed, 29 Mar 2017 14:01:22 +0000 zh-CN hourly 1 https://wordpress.org/?v=6.2 http://www.descar.net/wp-content/uploads/sites/7/2021/09/descar_favicon.png whoborn | Descar http://www.descar.net/zh-hans 32 32 중국어로 배우는 데카르 수학 2차 오픈 세미나 개최! http://www.descar.net/zh-hans/2016/05/13/146/ whoborn Fri, 13 May 2016 06:21:47 +0000 데카르 이야기 데카르 수학 수학세미나 아빠 어린이 엄마 영재교육 이색세미나 창의수학 초등학교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6/05/13/146/ <p>많은 분들이 와 주셔서 첫번째  세미나는 무사히 마쳤습니다. +_+ 짜잔~!! &#8216; 중국어로 배우는 데카르 수학 세미나&#8217;에 이어 드디어 두번째 세미나가 열립니다! 이번에는 주말! 토요일! 오전에 실시됩니다! ▼참가링크▼ http://goo.gl/forms/j9btaEdsSN 수학을 어려워하는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 즐겁고 효과적인 세미나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 일시: 5월 21일 토요일 10시 30분~12시 30분 * 장소: 연세대 서울본교 공학원 제3세미나실(259호... <p style="text-align: center;">많은 분들이 와 주셔서 첫번째  세미나는 무사히 마쳤습니다. +_+</p> <p style="text-align: center;"><a href="http://43.201.136.35/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6/05/IMG_7596.MOV-00.00.02.836-sabon.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none wp-image-1125" src="http://43.201.136.35/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6/05/IMG_7596.MOV-00.00.02.836-sabon.jpg" alt="데카르_오픈교육_현장" width="600" height="381" /></a></p> <p style="text-align: center;">짜잔~!!<br /> &#8216; 중국어로 배우는 데카르 수학 세미나&#8217;에 이어 드디어 두번째 세미나가 열립니다!</p> <p style="text-align: center;"><a href="http://goo.gl/forms/j9btaEdsSN"><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none size-full wp-image-1124" src="http://43.201.136.35/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6/05/banner_0521.png" alt="banner_0521" width="500" height="269" /></a></p> <p style="text-align: center;">이번에는 주말! 토요일! 오전에 실시됩니다!</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span style="color: #ff9900;">▼참가링크▼</span></strong><br /> <a href="http://goo.gl/forms/j9btaEdsSN">http://goo.gl/forms/j9btaEdsSN</a></p> <p style="text-align: center;">수학을 어려워하는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br />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 즐겁고 효과적인 세미나로 준비하고 있습니다^-^</p> <p style="text-align: center;">* 일시: 5월 21일 토요일 10시 30분~12시 30분<br /> * 장소: 연세대 서울본교 공학원 제3세미나실(259호)<br /> <span style="color: #ff6600;">* 참가비, 주차비 무료</span></p> <p style="text-align: center;"><a href="http://goo.gl/forms/j9btaEdsSN"><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none wp-image-1126" src="http://43.201.136.35/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6/05/Open_facebook_4.png" alt="Open_facebook_4" width="600" height="840" /></a></p> <p style="text-align: center;"> 사전등록 하실 수 있으며, 혹 늦게 공지를 봤더라도 현장 접수도 받고 있어요!</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span style="color: #ff9900;">▼참가링크▼</span></strong><br /> <a href="http://goo.gl/forms/j9btaEdsSN">http://goo.gl/forms/j9btaEdsSN</a></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문의※</strong><br /> ㈜후본 교육연구소 상품기획 담당자(070-4327-6224)</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6/05/13/146/">중국어로 배우는 데카르 수학 2차 오픈 세미나 개최!</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2016년 DESCAR 수학오픈 세미나 http://www.descar.net/zh-hans/2016/05/03/2016%eb%85%84-descar-%ec%88%98%ed%95%99%ec%98%a4%ed%94%88-%ec%84%b8%eb%af%b8%eb%82%98/ whoborn Tue, 03 May 2016 05:35:54 +0000 데카르 이야기 데카르 무료 세미나 수학 어린이 어린이날 융합교육 중국어 학부모 학습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6/05/03/2016%eb%85%84-descar-%ec%88%98%ed%95%99%ec%98%a4%ed%94%88-%ec%84%b8%eb%af%b8%eb%82%98/ <p>2016년 데카르 수학 교육 세미나 있어요. 2016년의 세미나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어떤 방식이냐구요? 바로 . . . . 중국어 로 배우는 창의 수학 학습 교육에 관심이 많으신 부모님은  놀이수학, 창의수학 오픈 강의에 대해서 궁금하시죠? 그것도 중국어로 배운다니 ! 세미나의 진행 내용은 아래와 같아요. 그럼 5 월 4일 날 우리 만나요~^^~ 앗! 잠시. 신청은 어떻게 하냐구요? 여기아래 링크 클릭하셔서 신청하세요. ▶ http://onoffmix.com/event/67111 신청 잘 안되시거나 모르시는 것... <p style="text-align: center;">2016년 데카르 수학 교육 세미나 있어요.</p> <p style="text-align: center;">2016년의 세미나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는데…</p> <p style="text-align: center;">어떤 방식이냐구요?</p> <p style="text-align: center;">바로</p> <p style="text-align: center;">.</p> <p style="text-align: center;">.</p> <p style="text-align: center;">.</p> <p style="text-align: center;">.</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중국어 </strong>로 배우는 <strong>창의 수학 학습<br /> </strong></p> <p style="text-align: center;">교육에 관심이 많으신 부모님은  놀이수학, 창의수학 오픈 강의에 대해서 궁금하시죠?</p> <p style="text-align: center;">그것도 <strong>중국어</strong>로 배운다니 !</p> <p style="text-align: center;">세미나의 진행 내용은 아래와 같아요.<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7/2016/04/121.png"><br /> </a></p> <p style="text-align: center;"><a href="http://descar.net/wp-content/uploads/sites/7/2016/05/opencourse_4.pn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none wp-image-132 size-large" src="http://descar.net/wp-content/uploads/sites/7/2016/05/opencourse_4-501x1024.png" alt="opencourse_4" width="501" height="1024" srcset="http://www.descar.net/wp-content/uploads/sites/7/2016/05/opencourse_4-501x1024.png 501w, http://www.descar.net/wp-content/uploads/sites/7/2016/05/opencourse_4-147x300.png 147w, http://www.descar.net/wp-content/uploads/sites/7/2016/05/opencourse_4.png 900w" sizes="(max-width: 501px) 100vw, 501px" /></a></p> <p style="text-align: center;">그럼 5 월 4일 날 우리 만나요~^^~</p> <p style="text-align: center;">앗! 잠시.</p> <p style="text-align: center;">신청은 어떻게 하냐구요?</p> <p style="text-align: center;">여기아래 링크 클릭하셔서 신청하세요.</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s.w.org/images/core/emoji/14.0.0/72x72/25b6.png" alt="▶" class="wp-smiley" style="height: 1em; max-height: 1em;" /> <a href="http://onoffmix.com/event/67111" target="_blank" rel="nofollow">http://onoffmix.com/event/67111</a></p> <p style="text-align: center;">신청 잘 안되시거나 모르시는 것이 있으시면 메일 또는 전화 주세요.</p> <p style="text-align: center;">성심성의 껏 알려드릴께요.</p> <p style="text-align: center;">문의 메일:<br /> <img src="https://s.w.org/images/core/emoji/14.0.0/72x72/25b6.png" alt="▶" class="wp-smiley" style="height: 1em; max-height: 1em;" /> contact@whoborn.net</p> <p style="text-align: center;">문의전화:</p> <p style="text-align: center;">070 – 4327 – 6226</p> <p style="text-align: center;">데카르 수학 오픈 세미나 하는 날 만나요~.</p> <p style="text-align: center;">오픈세미나 일시: 2016년 5월 4일  오후7시 ~ 9시 까지</p> <p style="text-align: center;">개인사정으로 늦게 오셔도  괜찮으니 많은 신청 부탁드려요^^</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6/05/03/2016%eb%85%84-descar-%ec%88%98%ed%95%99%ec%98%a4%ed%94%88-%ec%84%b8%eb%af%b8%eb%82%98/">2016년 DESCAR 수학오픈 세미나</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클릭!창조제품]후본의 데카르 수학교구 http://www.descar.net/zh-hans/2016/03/27/%ed%81%b4%eb%a6%ad%ec%b0%bd%ec%a1%b0%ec%a0%9c%ed%92%88%ed%9b%84%eb%b3%b8%ec%9d%98-%eb%8d%b0%ec%b9%b4%eb%a5%b4-%ec%88%98%ed%95%99%ea%b5%90%ea%b5%ac/ whoborn Sun, 27 Mar 2016 05:52:22 +0000 Dscar 언론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6/03/27/%ed%81%b4%eb%a6%ad%ec%b0%bd%ec%a1%b0%ec%a0%9c%ed%92%88%ed%9b%84%eb%b3%b8%ec%9d%98-%eb%8d%b0%ec%b9%b4%eb%a5%b4-%ec%88%98%ed%95%99%ea%b5%90%ea%b5%ac/ <p>카드 결합으로 수학적 패턴 쑥쑥 후본의 다양한 데카르 수학교구 모습./사진제공=후본 후본의 데카르 수학 교구는 관찰만 해도 자연스럽게 수학을 공부할 수 있는 독창적인 창의력 교구다. 국내외 어디에서도 유사한 제품을 찾아볼 수 없는 형태로 일반 카드와 투명 카드를 결합해서 수학적 패턴을 익히고 답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놀이 형식이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해 수학을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수학 학습 방식은 반복적으로 계산식과 수식을 익히는데 집중돼 있었지만 데카르 수학 교구는 수직선 길이 재기와 면의 크기 비교,... <p>카드 결합으로 수학적 패턴 쑥쑥</p> <p><span class="end_photo_org"><img decoding="async" src="http://imgnews.naver.net/image/011/2016/03/27/sed012016032914061284_99_20160329140706.jpg?type=w540" alt="" /></span></p> <p><span class="end_photo_org"><em class="img_desc">후본의 다양한 데카르 수학교구 모습./사진제공=후본</em></span></p> <p>후본의 데카르 수학 교구는 관찰만 해도 자연스럽게 수학을 공부할 수 있는 독창적인 창의력 교구다. 국내외 어디에서도 유사한 제품을 찾아볼 수 없는 형태로 일반 카드와 투명 카드를 결합해서 수학적 패턴을 익히고 답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놀이 형식이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해 수학을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p> <p>기존 수학 학습 방식은 반복적으로 계산식과 수식을 익히는데 집중돼 있었지만 데카르 수학 교구는 수직선 길이 재기와 면의 크기 비교, 좌표 찾기, 도형 조합하기 등 카드의 시각적 효과를 활용해 사칙연산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익힐 수 있다. 교구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들이 그려져 있어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키울 수 있다.</p> <p>또 데카르 수학 카드와 보드 판으로 아이들에게 놀이로 다가감으로써 수학을 처음 배우는 아이들이나 수학을 싫어하는 아이들도 흥미를 느낄 수 있어 학부모들의 관심이 많다.</p> <p>어려서부터 겁에 질려 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수학을 포기하는 사례를 줄이는 데 도움되는 놀이 학습 교구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학을 배우기 힘들어하는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p> <p>백주연기자 <span class="word_dic en">nice</span>89@<span class="word_dic en">sed</span>.<span class="word_dic en">co</span>.<span class="word_dic en">kr</span><!--844c7b74e31d727d5814a0ed667c0255--></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6/03/27/%ed%81%b4%eb%a6%ad%ec%b0%bd%ec%a1%b0%ec%a0%9c%ed%92%88%ed%9b%84%eb%b3%b8%ec%9d%98-%eb%8d%b0%ec%b9%b4%eb%a5%b4-%ec%88%98%ed%95%99%ea%b5%90%ea%b5%ac/">[클릭!창조제품]후본의 데카르 수학교구</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부스러기 사랑나눔회, 신월동 지역아동센터 옹달샘 후원 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b%b6%80%ec%8a%a4%eb%9f%ac%ea%b8%b0-%ec%82%ac%eb%9e%91%eb%82%98%eb%88%94%ed%9a%8c-%ec%8b%a0%ec%9b%94%eb%8f%99-%ec%a7%80%ec%97%ad%ec%95%84%eb%8f%99%ec%84%bc%ed%84%b0-%ec%98%b9%eb%8b%ac%ec%83%98/ whoborn Thu, 14 May 2015 05:42:30 +0000 데카르 이야기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5/05/14/%eb%b6%80%ec%8a%a4%eb%9f%ac%ea%b8%b0-%ec%82%ac%eb%9e%91%eb%82%98%eb%88%94%ed%9a%8c-%ec%8b%a0%ec%9b%94%eb%8f%99-%ec%a7%80%ec%97%ad%ec%95%84%eb%8f%99%ec%84%bc%ed%84%b0-%ec%98%b9%eb%8b%ac%ec%83%98/ <p>부스러기 사랑나눔회 산하 신월동 지역아동센터 옹달샘 아이들에게 데카르 수학교구를 후원하였습니다.  민청심 센터장님께서 아이들이 수학공부를 어떻게 하는지,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활동들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데카르 수학카드를 활용하면, 아이들의 수학 교육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시네요. 후본의 배영식 대표님께서 데카르 수학카드의 원리를 센터장님과 간사님께 자세한 설명을 해주셨어요. 아주 진지하게 경청해 주셨어요. &#160; 아이들이 데카르 수학카드를 만져보고, 관찰하면서 수학의 원리를 쉽게 깨우치기 시작했어요. ... <p>부스러기 사랑나눔회 산하 신월동 지역아동센터 옹달샘 아이들에게 데카르 수학교구를 후원하였습니다.  민청심 센터장님께서 아이들이 수학공부를 어떻게 하는지,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활동들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데카르 수학카드를 활용하면, 아이들의 수학 교육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시네요.</p> <p>후본의 배영식 대표님께서 데카르 수학카드의 원리를 센터장님과 간사님께 자세한 설명을 해주셨어요. 아주 진지하게 경청해 주셨어요.</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IMG_5335.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wp-image-494 size-large" src="http://43.201.136.35/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IMG_5335.jpg" alt="IMG_5335" width="960" height="720" /></a></p> <p>&nbsp;</p> <p>아이들이 데카르 수학카드를 만져보고, 관찰하면서 수학의 원리를 쉽게 깨우치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참여하지 않겠다던 아이들도 어느덧 수학카드 게임에 몰두하기 시작했어요. 3팀으로 나눠서 아이들끼리 서로 문제를 내고, 답을 맞추면서 아주 즐거워 했어요.</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IMG_9146.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wp-image-493 size-large" src="http://43.201.136.35/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IMG_9146.jpg" alt="IMG_9146" width="960" height="720" /></a></p> <p>&nbsp;</p> <p>수학 문제집을 혼자 풀기 보다는 친구들과 함께 수학 게임을 하며, 즐겁게 공부하는 활동.. 지역아동센터 옹달샘에 어울리는 학습방법이겠지요. 관찰을 통해서 스스로 깨달을 때 나오는 소리.. &#8220;아~, 오호~&#8221; 수학을 이렇게 즐겁게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운 것이죠. 아이들 스스로 더 어려운 수준의 문제로 나아가는 모습을 봤어요. 아이들은 어른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성장하는 법이지요.</p> <p>&nbsp;</p> <p>5월 7일. (주)후본 배영식 대표, 경희대 황명호 교수, (주)후본 최영 부장이 양천구 신월동 지역아동센터 옹달샘을 방문하여, 데카르 수학교구를 후원했습니다.</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b%b6%80%ec%8a%a4%eb%9f%ac%ea%b8%b0-%ec%82%ac%eb%9e%91%eb%82%98%eb%88%94%ed%9a%8c-%ec%8b%a0%ec%9b%94%eb%8f%99-%ec%a7%80%ec%97%ad%ec%95%84%eb%8f%99%ec%84%bc%ed%84%b0-%ec%98%b9%eb%8b%ac%ec%83%98/">부스러기 사랑나눔회, 신월동 지역아동센터 옹달샘 후원</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2015 수학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데카르가 후원 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2015-%ec%88%98%ed%95%99%ea%b5%90%ec%9c%a1%ed%95%99%ed%9a%8c-%ec%97%b0%ed%95%a9%ed%95%99%ec%88%a0%eb%8c%80%ed%9a%8c-%eb%8d%b0%ec%b9%b4%eb%a5%b4%ea%b0%80-%ed%9b%84%ec%9b%90/ whoborn Thu, 14 May 2015 05:39:12 +0000 데카르 이야기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5/05/14/2015-%ec%88%98%ed%95%99%ea%b5%90%ec%9c%a1%ed%95%99%ed%9a%8c-%ec%97%b0%ed%95%a9%ed%95%99%ec%88%a0%eb%8c%80%ed%9a%8c-%eb%8d%b0%ec%b9%b4%eb%a5%b4%ea%b0%80-%ed%9b%84%ec%9b%90/ <p>&#160; 5월 1일, 2일 건국대학교에서 2015 수학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가 있었습니다. 첫날은 수학교육학 특강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공개토론회로 열기가 뜨거웠습니다. 초중고 수학교과과정 개편에 대한 마지막 공청회여서, 언론을 비롯해 많은 단체의 관심을 받았던 행사였습니다. 둘째날에는 다양한 논문발표와 워크샵이 있었는데, 전국 수학교육학 교수님, 일선 초중고 선생님, 수학관련 단체에서 많은 분들이 참석했습니다. &#160; 이번 2015 수학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에 데카르가 공식 후원을 했습니다.  수...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1.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460"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1.jpg" alt="1" width="960" height="540" /></a> <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2.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461"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2.jpg" alt="2" width="960" height="785" /></a> <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3.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462"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3.jpg" alt="3" width="1632" height="1224" /></a> <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5.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463"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5/5.jpg" alt="5" width="1280" height="960" /></a></p> <p>&nbsp;</p> <p>5월 1일, 2일 건국대학교에서 2015 수학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가 있었습니다. 첫날은 수학교육학 특강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공개토론회로 열기가 뜨거웠습니다. 초중고 수학교과과정 개편에 대한 마지막 공청회여서, 언론을 비롯해 많은 단체의 관심을 받았던 행사였습니다.</p> <p>둘째날에는 다양한 논문발표와 워크샵이 있었는데, 전국 수학교육학 교수님, 일선 초중고 선생님, 수학관련 단체에서 많은 분들이 참석했습니다.</p> <p>&nbsp;</p> <p>이번 2015 수학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에 데카르가 공식 후원을 했습니다.  수학교육과 교수님, 수학교사모임, 수학연구회, 유명 사립학교 교장선생님, 일선 초중등 선생님 등 많은 분들이 데카르 수학 카드에 관심과 놀라움을 표해 주셨습니다.</p> <p>&nbsp;</p> <p>데카르는 우리나라 수학교육이 바로 설 수 있도록 후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2015-%ec%88%98%ed%95%99%ea%b5%90%ec%9c%a1%ed%95%99%ed%9a%8c-%ec%97%b0%ed%95%a9%ed%95%99%ec%88%a0%eb%8c%80%ed%9a%8c-%eb%8d%b0%ec%b9%b4%eb%a5%b4%ea%b0%80-%ed%9b%84%ec%9b%90/">2015 수학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데카르가 후원</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우리의 수학교육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c%9a%b0%eb%a6%ac%ec%9d%98-%ec%88%98%ed%95%99%ea%b5%90%ec%9c%a1-%ec%96%b4%eb%96%bb%ea%b2%8c-%eb%8b%ac%eb%9d%bc%ec%a0%b8%ec%95%bc-%ed%95%a0%ea%b9%8c/ whoborn Thu, 14 May 2015 05:35:16 +0000 데카르 이야기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5/05/14/%ec%9a%b0%eb%a6%ac%ec%9d%98-%ec%88%98%ed%95%99%ea%b5%90%ec%9c%a1-%ec%96%b4%eb%96%bb%ea%b2%8c-%eb%8b%ac%eb%9d%bc%ec%a0%b8%ec%95%bc-%ed%95%a0%ea%b9%8c/ <p>수학교과의 학습 부담이 상당히 많습니다. 창의성과 이해력을 높인다는 명목하에 문제에 대한 해석도 난해한 수학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연산을 강조하는 풍토에서 창의성 수학이라는 또하나의 짐이 얹혀진 형국입니다. 아직도 우리 아이들이 끝도 없는 문제를 정확하게, 그것도 빨리 풀도록 강요받고 있습니다. 이것이 마치 수학 실력이라도 되는 것 처럼 말입니다. &#160; 왜 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는 노역을 강요하는 것은 우리 아이들에게 지옥을 경험케 하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100점이라는 정상에 오른 듯 싶어도, 언제든 ... <p>수학교과의 학습 부담이 상당히 많습니다. 창의성과 이해력을 높인다는 명목하에 문제에 대한 해석도 난해한 수학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연산을 강조하는 풍토에서 창의성 수학이라는 또하나의 짐이 얹혀진 형국입니다. 아직도 우리 아이들이 끝도 없는 문제를 정확하게, 그것도 빨리 풀도록 강요받고 있습니다. 이것이 마치 수학 실력이라도 되는 것 처럼 말입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5.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74"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5.jpg" alt="005" width="1014" height="344" /></a></p> <p>&nbsp;</p> <p>왜 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는 노역을 강요하는 것은 우리 아이들에게 지옥을 경험케 하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100점이라는 정상에 오른 듯 싶어도, 언제든 나락으로 떨어져 다시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됩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7.pn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76"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7.png" alt="007" width="457" height="500" /></a></p> <p>&nbsp;</p> <p>짧은 시간 동안 많은 문제를 풀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스스로 생각할 겨를이 없습니다. 자기 스스로 느끼고 활동하지 못한 채로 공식암기, 공식 적용, 그리고 다음 공식 암기.. 이런 주입식 과정을 되풀이 해서는 어떠한 성취도 기대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인간은 자연을 관찰하고, 느끼면서 스스로 탐구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스스로 깨닫는 것에서 행복감, 성취감을 느끼게 됩니다. 아이들에게 스스로 탐구하고, 깨닫는 즐거움을 되돌려 주어야 합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8.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wp-image-277"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8.jpg" alt="008" width="421" height="421" /></a></p> <p>&nbsp;</p> <p>우리는 아래의  원칙을 토대로 새로운 교육 방법을 7세 아동에서 초등  2학년 100명의 학생에게 6월간 적용해 보았습니다.</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관찰 중심의 수학 원칙]</strong></p> <p style="text-align: center;">&#8211; 스스로 관찰하고, 깨닫는 순간을 되돌려 주는 교육<br /> &#8211;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혼자서도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의 교육<br /> &#8211; 수학의 개념을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로 제시하여 이해력을 높이는 교육<br /> &#8211; 배우는 즐거움을 앗아가지 않는 교육</p> <p>관찰중심의 수학을 접했던 아이들은 대부분 수학사교육에 의지하지 않았고, 수학 평균점수가 78점으로 평범한 아이들이었습니다. 아직 장기적인 결과를 얻은 것은 아니지만, 학생 스스로의 힘으로 향상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보통의 아이들은 사교육을 통해서 초등학년에서는 높은 점수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에 들어가서는 본 실력이 드러나게 됩니다. 스스로 깨닫고, 스스로 공부하지 않으면 결국 수포자의 길로 들어 서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자연스러운 교육을 통해 스스로 성취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었습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스크린샷-2015-04-24-오전-5.54.48.pn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326"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스크린샷-2015-04-24-오전-5.54.48.png" alt="스크린샷 2015-04-24 오전 5.54.48" width="836" height="447" /></a></p> <p>&nbsp;</p> <p>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86%의 학생들이 2개월만에 분수개념까지 쉽게 깨우쳤습니다. 1에서 100까지의 수를 셀 수는 있지만 덧셈을 접해보지 못한 7세 아이 조차도 마이너스 개념과 문자식의 정리까지 원리를 이해했습니다. 곱셈의 개념도 모르고, 구구단을 외우지 않은 초등 1학년 학생도 곱셈을 이미지로 그리면서 곱셈은 물론 분수의개념도 1개월만에 이해했습니다. 95%의 학생이 수학이 재미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우리는 더 나아가 초등학생 수준에서도 아주 자연스럽게 미적분까지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초등 고학년 수준이면 1년 내에 수학의 고급 개념을 이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리한 선행학습을 하자는 것이 아니고, 관찰 중심의 수학 원칙들을 적용하면 누구나 쉽게 개념을 익히고, 수학을 즐길 수 있다는 취지입니다. 어떻게 이런 것들이 가능할 수 있을까요?</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9.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79"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9.jpg" alt="009" width="793" height="549" /></a></p> <p>&nbsp;</p> <p>&nbsp;</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c%9a%b0%eb%a6%ac%ec%9d%98-%ec%88%98%ed%95%99%ea%b5%90%ec%9c%a1-%ec%96%b4%eb%96%bb%ea%b2%8c-%eb%8b%ac%eb%9d%bc%ec%a0%b8%ec%95%bc-%ed%95%a0%ea%b9%8c/">우리의 수학교육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학교 수학교육을 믿고 따라갈 수 있을까? 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d%95%99%ea%b5%90-%ec%88%98%ed%95%99%ea%b5%90%ec%9c%a1%ec%9d%84-%eb%af%bf%ea%b3%a0-%eb%94%b0%eb%9d%bc%ea%b0%88-%ec%88%98-%ec%9e%88%ec%9d%84%ea%b9%8c/ whoborn Thu, 14 May 2015 05:33:55 +0000 데카르 이야기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5/05/14/%ed%95%99%ea%b5%90-%ec%88%98%ed%95%99%ea%b5%90%ec%9c%a1%ec%9d%84-%eb%af%bf%ea%b3%a0-%eb%94%b0%eb%9d%bc%ea%b0%88-%ec%88%98-%ec%9e%88%ec%9d%84%ea%b9%8c/ <p>초등학교 때부터 사교육에 의존하면 결국 중고등학교에 올라가서도 효과없는 사교육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참고 : &#8220;초등학교 수학 사교육 현황&#8221;. http://blog.whoborn.net/2015/04/23/elementary_math/) 그렇다고 학교교육을 전적으로 믿고 따르자니 불안합니다. 한국교육개발원 김종대 연구원이 2000년도에 발표한 &#8220;한국교육 위기의 원인과 실태분석&#8221;에 보면 학교교육에 대한 민낯을 여실히 볼 수가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수업을 어느 정도 이해하느냐고 물었습니다... <p>초등학교 때부터 사교육에 의존하면 결국 중고등학교에 올라가서도 효과없는 사교육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참고 : &#8220;초등학교 수학 사교육 현황&#8221;. http://blog.whoborn.net/2015/04/23/elementary_math/) 그렇다고 학교교육을 전적으로 믿고 따르자니 불안합니다. 한국교육개발원 김종대 연구원이 2000년도에 발표한 &#8220;한국교육 위기의 원인과 실태분석&#8221;에 보면 학교교육에 대한 민낯을 여실히 볼 수가 있습니다.</p> <p>학생들에게 수업을 어느 정도 이해하느냐고 물었습니다. 67.3%만이 소수의 학생만 이해하거나, 거의 아무도 이해하지 못한다는 충격적인 통계입니다. 만약 수학교과에 대한 질문이었다면 훨씬 심각한 수치를 접했을 것입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1.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66"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1.jpg" alt="001" width="428" height="345" /></a></p> <p>&nbsp;</p> <p>&nbsp;</p> <p>학생들에게 집중을 안하는 이유를 물은 결과 교과목 자체가 싫고, 교사가 못가르친다는 응답이 많았고, 학원에서 이미 배워 집중을 안한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즉 학생들은 교과목에 대한 흥미를 갖게끔 교사가 잘 가르쳐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사교육 때문에 공교육이 무너진다는 주장은 논리상 순서가 뒤바뀐 것이 아닐까 합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3.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67"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3.jpg" alt="003" width="681" height="376" /></a></p> <p>&nbsp;</p> <p>&nbsp;</p> <p>흥미있는 수업을 방해하는 요소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74.2%가 &#8216;학생특성과 수준을 무시한 교육과정&#8217;, &#8216;재미없는 수업방법&#8217;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학생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과 재미있는 수업이 절실한데 과연 학교교육이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을까요?</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4.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68"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04.jpg" alt="004" width="609" height="372" /></a></p> <p>&nbsp;</p> <p>&#8216; 한국중등수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8217;, 김덕주(2007)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학 공교육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p> <p>&#8211; 기본 개념에대한 이해없이 암기를 통한 문제풀이 중심<br /> &#8211; 추상적인 개념들이 아이들이 인지발달상황과 맞지 않게 너무 일찍 도입됨<br /> &#8211; 요약중심의 체계에 빠른 진도</p> <p>암기, 문제풀이, 요약, 빠른 진도 등이 문제의 핵심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개념을 정확한 이해하고, 그 의미를 견고히 세운 이후에 문제풀이를 병행해서 가야하는데, 개념 이해를 등한시한 채 문제풀이 위주로 하는 것이 문제겠지요. 추상적인 수학 개념을 아이들의 인지발달상황에 맞게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로 제시하면, 혼란을 덜 느낄 것입니다. 이는 쉽고 빠르게 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하여, 학습진도에 뒤쳐지지 않게 해 줄 것입니다.</p> <p>&nbsp;</p> <p>결론적으로 학생들은 학교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이해를 거의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원인은 학생 특성을 무시한 교과과정과 재미없는 수업이라는 것입니다. 입시제도가 바뀌고, 사교육이 없어진다고 해도, 교육과정과 수업방식의 혁신이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것이 없습니다. 핵심은 바로 학생 특성에 맞는 재미있는 수업을 어떻게 만들 것이냐입니다.</p> <p>&nbsp;</p> <p><strong>관찰 중심의 수학 원리, 데카르 공식 페이지 : <a title="데카르 공식 페이지" href="http://www.descar.net" target="_blank">http://www.descar.net</a></strong></p> <p>&nbsp;</p> <p>&nbsp;</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d%95%99%ea%b5%90-%ec%88%98%ed%95%99%ea%b5%90%ec%9c%a1%ec%9d%84-%eb%af%bf%ea%b3%a0-%eb%94%b0%eb%9d%bc%ea%b0%88-%ec%88%98-%ec%9e%88%ec%9d%84%ea%b9%8c/">학교 수학교육을 믿고 따라갈 수 있을까?</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수학 사교육이 효과가 있을까? 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c%88%98%ed%95%99-%ec%82%ac%ea%b5%90%ec%9c%a1%ec%9d%b4-%ed%9a%a8%ea%b3%bc%ea%b0%80-%ec%9e%88%ec%9d%84%ea%b9%8c/ whoborn Thu, 14 May 2015 05:31:29 +0000 데카르 이야기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5/05/14/%ec%88%98%ed%95%99-%ec%82%ac%ea%b5%90%ec%9c%a1%ec%9d%b4-%ed%9a%a8%ea%b3%bc%ea%b0%80-%ec%9e%88%ec%9d%84%ea%b9%8c/ <p>교과과정 상의 문제, 평가의 문제, 점수 및 입시 위주의 서열화된 교육환경 등의 요인으로 사교육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습니다. 사교육의 효과가 아예 없다고 하면 지금과 같이 과열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현실에서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반드시 있을 것입니다. 2011년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우리나라의 수학교육 현안 연구조사”를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초등학생 86.73%가 사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이상의 효과를 보았다고 응답했습니다. 초등수학에서는 사교육 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 다름아닌 사교육을 받으면 성적을 올려주거나, 유지시... <p>교과과정 상의 문제, 평가의 문제, 점수 및 입시 위주의 서열화된 교육환경 등의 요인으로 사교육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습니다. 사교육의 효과가 아예 없다고 하면 지금과 같이 과열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현실에서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반드시 있을 것입니다. 2011년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우리나라의 수학교육 현안 연구조사”를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초등학생 86.73%가 사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이상의 효과를 보았다고 응답했습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effect.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56"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effect.jpg" alt="effect" width="611" height="402" /></a></p> <p>초등수학에서는 사교육 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 다름아닌 사교육을 받으면 성적을 올려주거나, 유지시켜 준다는 것입니다. 초등 수학 교과 과정이 비교적 쉽다는 특성과 함께 어린 아이들에게는 강요된 학습에서도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도 스파르타식 학원이 성행하는 이유입니다. 중고등학교로 올라갈 수록 사교육 효과가 상당히 미미해집니다.</p> <p>2010년에 한국개발연구원에서 발표한 &#8220;학업성취도, 진학 및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분석&#8221;에 따르면 수학 사교육 지출의 효과성을 1/10 수준으로, 이는 사교육비가 10만원 증가했을 때 수학점수가 전국표준편차의 1.5% ~ 1.6% 상승에 그친다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거의 효과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2.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57"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2.jpg" alt="02" width="432" height="387" /></a></p> <p>&nbsp;</p> <p>&nbsp;</p> <p>초등학교 수학 평균 점수는 대략 80점 정도를 유지합니다. 초등1학년 때 90점대에서 시작하여 점차 낮아지기는 하지만 70점 중반 이상을 유지합니다. 초등학년에서는 엄마표 교육이나 사교육을 통해서 수학 점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학교 수학은 완전히 다른 차원입니다. 반평균 수학점수가 50~60점대로 급격히 떨어지고, 수포자가 양산됩니다.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더 심각해집니다. 고등학교 수학시간에 선생님의 설명에 집중하는 학생이 한 반에 겨우 5명 ~ 10명에 불과합니다. 하늘교육이 공개한 2014년 전국일반고 내신분석에 따르면 48.01%가 수학 내신점수 50점 미만의 수포자라고 합니다.</p> <p>중고등 수학은 난이도가 상당히 높고, 청소년기 아이들의 특성상 강압적인 스파르타식 교육이 통하지도 않습니다. 정말 큰 문제는 초등저학년 때부터 사교육에 익숙한 아이들이 사교육 없이 스스로 공부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초등 수학에서의 단기적 효과에 현혹된 결과 사교육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된 것입니다.</p> <p>&nbsp;</p> <p>그렇다고 공교육만 믿고 따라가기에는 불안합니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근거가 있습니다.</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c%88%98%ed%95%99-%ec%82%ac%ea%b5%90%ec%9c%a1%ec%9d%b4-%ed%9a%a8%ea%b3%bc%ea%b0%80-%ec%9e%88%ec%9d%84%ea%b9%8c/">수학 사교육이 효과가 있을까?</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초등학교 수학 사교육 현황 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c%b4%88%eb%93%b1%ed%95%99%ea%b5%90-%ec%88%98%ed%95%99-%ec%82%ac%ea%b5%90%ec%9c%a1-%ed%98%84%ed%99%a9-2/ whoborn Thu, 14 May 2015 05:29:26 +0000 데카르 이야기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5/05/14/%ec%b4%88%eb%93%b1%ed%95%99%ea%b5%90-%ec%88%98%ed%95%99-%ec%82%ac%ea%b5%90%ec%9c%a1-%ed%98%84%ed%99%a9/ <p>통계청에서 발표한 &#8220;2014년 사교육비조사&#8221;에 따르면 초등 사교육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8211; 초등 사교육 시장 : 7조 6천억원 &#8211; 초등 사교육 참여율 : 81.8% &#8211;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 : 6.6시간 &#8211; 사교육 참여학생 기준 월 평균 사교육비 : 28만 6천원 이런 자료를 보면 갸우뚱합니다. 국영수는 물론 예체능을 포함한 것인데 20% 가까이는 아예 사교육을 안받는 다는 것이고, 30만원 미만의 돈을 지출한다는 것입니다. 현실은 그보다 훨씬 더 할 것이라... <p>통계청에서 발표한 &#8220;2014년 사교육비조사&#8221;에 따르면 초등 사교육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p> <p>&#8211; 초등 사교육 시장 : 7조 6천억원<br /> &#8211; 초등 사교육 참여율 : 81.8%<br /> &#8211; 주당 사교육 참여 시간 : 6.6시간<br /> &#8211; 사교육 참여학생 기준 월 평균 사교육비 : 28만 6천원</p> <p>이런 자료를 보면 갸우뚱합니다. 국영수는 물론 예체능을 포함한 것인데 20% 가까이는 아예 사교육을 안받는 다는 것이고, 30만원 미만의 돈을 지출한다는 것입니다. 현실은 그보다 훨씬 더 할 것이라는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별로 없습니다.</p> <p>초등 수학만을 놓고 보면 아래와 같은 통계를 얻을 수 있습니다.</p> <p>&#8211; 주당 수학 사교육 참여 시간 : 1시간 16분<br /> &#8211; 수학 사교육 참여율 : 45.8%<br /> &#8211; 사교육 참여학생 기준 월 평균 수학 사교육비 : 9만 3천 800원</p> <p>현실과 약간의 괴리감이 있습니다. 초등학생 절반 이상이 수학 사교육을 안받는 다는 것이고, 1주일에 고작 1시간 남짓 수학 사교육을 받는 다는 것인데, 최근에는 사교육을 경감시키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키겠다는 스토리텔링 수학 때문에 초등 사교육이 오히려 늘어났다고 합니다.</p> <p>언제부터 수학 사교육을 받기 시작할까요?</p> <p>2011년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8220;우리나라의 수학교육 현안 연구조사&#8221;를 한 결과를 살펴보면, 76.26%가 초등 저학년 이전 시기에 수학 사교육을 접합니다.</p> <div id="attachment_245" style="width: 298px" class="wp-caption aligncenter"><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1.jpg"><img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245"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wp-image-245 size-medium"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1-288x300.jpg" alt="초등, 취학전 사교육 통계" width="288" height="300" /></a><p id="caption-attachment-245" class="wp-caption-text">수학 사교육을 처음 접한 시기</p></div> <p>&nbsp;</p> <p>&nbsp;</p> <p>4년 전 자료이니, 2015년 현재 기준으로 보면 훨씬 이른 연령에 사교육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사교육 시작 연령이 점점 유아단계로 내려오고 있으니까요.(유아 사교육 과열. <a href="http://media.daum.net/economic/consumer/newsview?newsid=20150422141009252" target="_blank">http://media.daum.net/economic/consumer/newsview?newsid=20150422141009252</a>)</p> <p>늦어도 7세에는 덧셈, 뺄셈의 기초적인 연산을 시키고 있습니다. 한글 교육과 마찬가지로 아무것도 모르고 입학하면, 초등 1학년 때부터 뒤쳐질 것을 염려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도 초등 1학년 때 연산이 좀 뒤쳐지면 담임 선생님으로부터 보충교육에 대한 충고를 듣게 됩니다.</p> <p>그럼 초등학생들은 어떤 사교육을 받고 있을까요? 2011년 한국창의재단의 같은 자료를 보면 학습지와 선생학습 위주의 학원에 다닌다는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p> <div id="attachment_238" style="width: 729px" class="wp-caption aligncenter"><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how.jpg"><img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238"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wp-image-238 size-full"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how.jpg" alt="수학 사교육 유형" width="719" height="371" /></a><p id="caption-attachment-238" class="wp-caption-text">초등 수학 사교육 유형</p></div> <p>&nbsp;</p> <p>초등 저학년 때는 주로 학습지를 선택하고, 고학년으로 갈 수록 선행학습 위주의 학원에 다닙니다. 최근에는 양상이 좀 달라졌습니다. 스토리텔링 수학이 도입된 이후 초등 저학년 때 엄마표 수학교육의 대명사였던 기탄수학의 영향력이 상당히 줄어 든 반면, 창의력 수학학원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자사고, 특목고에 들어가지 못하면 상위권 대학에 입학하기 어렵다는 인식과 영재교육원, 과학고 입시 시장이 커지면서 초등 수학 사교육을 부추기고 있습니다.</p> <p>사교육 없이는 수학교과 과정을 따라가거나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는 불안감이 팽배합니다. 초등 교과서의 내용이 상당히 어렵고, 진도가 너무 빨라 아이들이 천천히 생각할 틈이 없습니다. 부모님조차 초등 1, 2학년 교과서의 내용이 생소하고,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욱 사교육에 의존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은 문제를 대하고 있으면 상당히 당혹스럽기까지 합니다.</p> <div id="attachment_239" style="width: 410px" class="wp-caption aligncenter"><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3.jpeg"><img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239"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wp-image-239"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3-300x220.jpeg" alt="난해한 수학문제" width="400" height="293" /></a><p id="caption-attachment-239" class="wp-caption-text">초등 2학년 수학문제</p></div> <div id="attachment_240" style="width: 601px" class="wp-caption aligncenter"><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4.jpg"><img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240"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wp-image-240"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4.jpg" alt="4" width="591" height="443" /></a><p id="caption-attachment-240" class="wp-caption-text">초등1학년 수학문제</p></div> <div id="attachment_241" style="width: 484px" class="wp-caption aligncenter"><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5.jpg"><img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241"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 wp-image-241"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5-300x212.jpg" alt="초등1학년 수학문제" width="474" height="335" /></a><p id="caption-attachment-241" class="wp-caption-text">초등1학년 수학문제</p></div> <div id="attachment_249" style="width: 794px" class="wp-caption aligncenter"><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5.jpg"><img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249"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 wp-image-249"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5.jpg" alt="초등2학년 수학문제" width="784" height="441" /></a><p id="caption-attachment-249" class="wp-caption-text">초등2학년 수학문제</p></div> <p>&nbsp;</p> <p>또 하나 간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습니다. 스토리텔링 중심으로 초등수학 교과가 개편되면서 창의성을 요하는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으나, 채점 방식은 예전과 같이 정해진 답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창의성이 훼손되고 있음은 물론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2.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48"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2.jpg" alt="1" width="600" height="450" /></a></p> <p><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 wp-image-243 aligncenter"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61-300x254.jpg" alt="초등2학년 수학문제" width="434" height="368" /></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0.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wp-image-250"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0.jpg" alt="10" width="769" height="478" /></a> <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11.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wp-image-251"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11.jpg" alt="11" width="767" height="342" /></a> <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21.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wp-image-252"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121.jpg" alt="12" width="703" height="667" /></a></p> <p><a href="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11.jpg"><img decoding="async" loading="lazy"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262" src="http://blog.whoborn.net/wp-content/uploads/sites/9/2015/04/011.jpg" alt="01" width="922" height="540" /></a></p> <p>결론적으로 정리하면, 대부분이 초등저학년 또는 입학 전부터 수학 사교육을 시작하고,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합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놀랍게도 86.73%가 사교육을 통해  어느정도 이상의 효과를 보았다고 응답했습니다(출처 :  2011 우리나라의 수학교육 현안 연구조사, 한국과학창의재단). 사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p> <p>&nbsp;</p> <p><strong>관찰 중심의 수학 원리, 데카르 공식 페이지 : <a title="데카르 공식 페이지" href="http://www.descar.net" target="_blank">http://www.descar.net</a></strong></p> <p>&nbsp;</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14/%ec%b4%88%eb%93%b1%ed%95%99%ea%b5%90-%ec%88%98%ed%95%99-%ec%82%ac%ea%b5%90%ec%9c%a1-%ed%98%84%ed%99%a9-2/">초등학교 수학 사교육 현황</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test video http://www.descar.net/zh-hans/2015/05/08/26testvideo/ whoborn Fri, 08 May 2015 08:39:21 +0000 Descar 동영상 http://43.201.136.35/descar-net/zh-hans/2015/05/08/26testvideo/ <p>https://youtu.be/zYCW4Wwly0A</p> 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08/26testvideo/">test video</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 <p>https://youtu.be/zYCW4Wwly0A<!--844c7b74e31d727d5814a0ed667c0255--></p>The post <a href="http://www.descar.net/zh-hans/2015/05/08/26testvideo/">test video</a> first appeared on <a href="http://www.descar.net/zh-hans">Descar</a>.